본문 바로가기
가족치료의 주요 이론

전략적 가족치료 - 1

by 리치라니의 행복한 기록 2024. 4. 2.

전략적 가족치료는 1950년대 헤일리가 정신분열증 가족을 연구하는 베이트슨의 팀에 참여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 팀에서는 가족들의 의사소통을 연구하였다. 1970년대 헤일리는 다시 에릭슨의 최면치료, 은유적 언어의 사용, 역설적 개입 시련기법 등의 영향을 받았다. 그 후 전략적 가족치료는 MRI ( Mental Research Institute ) 의 단기치료모델, 헤일리와 마다네스의 전략적 치료, 그리고 밀란의 체계모델로 발전하였다. 이들은 각각 공통적인 변화의 원리가 있지만, 문제를 이해하거나 변화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으며 모든 가족에게 일관적인 기법이 적용되는 구조적 가족치료의 접근과는 달리 전략적 가족치료는 특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전략적 가족치료는 1990년대에 이르러 행동적 변화보다는 인지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고, 치료사의 역할 또한 조작적인 역할에서 협조적인 역할로 변화하였다. 치료사는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 변화를 일으키기보다는 내담자 가족들이 해결할 수 있도록 힘을 북돋아 주고 변화를 고취시키기 시작하였다.

 

1. 주요 인물과 배경

 

 전략적 가족치료는 1950년대 초반 그레고리 베이트슨과 밀턴 에릭슨에 의해 개발된 의사소통 가족치료 모델에 토대를 두고 있다. 전략적 가족치료 발달은 1959년 돈 잭슨이 만든 정신건강연구소에서 시작되었다. 전략적 치료는 3가지 모델로 MRI(정신건강연구소)의 단기치료, 헤일리와 마다네스의 전략적 가족치료, 밀란의 체계 모델이 있다. 

 

 먼저 MRI 모델은 베이트슨의 정신분열증 환자가 있는 가족의 의사소통의 패턴을 연구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베이트슨은 가족을 변화시키는 것보다 그들을 관찰하는 것에 더 많은 흥미를 가졌으며, 사람들이 간단한 개입만으로도 변화될 수 있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가족들이 문제 상황에서 시도하는 행동들이 순환적으로 문제를 야기하거나 지속시킨다고 보았으며, 문제가 되는 행동들을 수정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 모델에서는 무제 원인에 초점을 두지 않고, 증상 처방이나 역설적 개입을 통해 문제가 되는 가족들의 상호작용 패턴을 자각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나는 개인의 변화와 같은 일차적인 변화보다는 가족 체계의 변화, 즉 이차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전략적 기술들을 사용하였다.

 

 전략적 치료의 두번째 모델은 헤일리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헤일리와 마다네스는 반항적인 청소년을 다루는 혁신적인 방법을 개발했다. 헤일리는 미누친의 영향을 받아 가족조직에 대한 구조적 관점을 전략적 기법에 적용시켰다. 헤일리는 가족의 증상은 가족의 잘못된 위계질서에서 나온다고 보았다. 가족들은 기본적으로 가족 구조 내에서 힘을 얻거나 가족을 보호하고 돌보려고 하며, 역기능적으로 힘을 얻거나 가족들을 보호하고 돌보는 수단으로 증상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였다. 

 

 전략적 치료의 세번째 모델은 섭식장애를 전문으로 다루는 이탈리아의 저명한 정신분석가인 파라졸리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파라졸리는 1971년 체계론적 접근법을 따르는 보스콜로, 세친, 프라타와 함께 밀란에서 가족연구 센터를 설립하여 '밀란 모델'을 탄생시켰다. 이들은 심각한 장애가족들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가졌는데, 증상을 일으키는 가족들은 다양한 삼각관계로 이루어지는 비밀스러운 가족 게임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들은 가족들의 게임의 긍정적인 의미를 밝히거나, 게임을 계속하도록 처방을 내려 게임 방식을 드러내고, 게임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처럼 밀란 그룹은 전략적 가족치료를 더욱더 발전시켰고, 특히 역설적 개입의 개념뿐만 아니라 섭식장애인 가족의 치료에도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2. 주요개념

 

 전략적 가족치료의 중요한 개념들은 의사소통이론, 가족향상성, 피드백 고리, 가족규칙, 일차적 변화와 이차적 변화, 순환적 인과성등이 있다. 몇 가지는 접근 모델별로 중첩되기도 하고, 몇 가지는 특정 모델만이 보이는 독특한 개념이기도 하다. 

 

1) 의사소통이론 

 

의사소통모델의 첫 번째 원칙은 사람들은 항상 말이나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을 알게 되면 의사소통의 기능과 메시지의 측면에서 의사소통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묵을 하고 있을 때 의사소통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침묵으로 말을 하고 싶지 않다는 메시지를 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원칙은 의사소통으로 전달되는 메시지의 기능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메시지의 기능은 보고 기능과 명령 기능이 있다. 보고 메시지는 가족 구성원들이 다른 구성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명백하고 분명한 언어적 내용이다. 명령 메세지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사이에 전달하고자 하는 숨겨진 암묵적인 메시지들이다.

명백한 메시지와 숨은 메시지는 매우 다른 내용을 전달하기 때문에, 청자가 다양한 메시지를 해독하고 메시지들 간의 불일치를 찾는 것에 따라 반응이 달라진다. 명백한 의사소통은 명백한 메시지와 숨은 메시지가 일치하거나 메시지들이 서로를 지지해 준다. 건강한 관계에서는 명백한 메시지와 숨은 메시지 간의 불일치가 확인되고 논의될 수 있다. 건강하지 못한 관계에서는 이러한 불일치가 무시되거나, 혹은 너무 어렵기 때문에 논의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2) 가족규칙

 

가족 내에는 다양한 규칙이 있다. 이러한 규칙은 명료한 것도 있으며, 명료하지 않은 것들도 있다. 특히 명료하지 않은 가족규칙은 가족의 의사소통 패턴 안에서 전달되는 명령이나 숨은 메시지 속에 들어 있다. 이러한 가족규칙들의 목표는 가족의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 즉 가족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전략적 가족치료서 가족 내의 문제는 기능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가족의 균형과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문제가 지속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치료사들은 가족들이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쟁하고 의사소통 패턴이나 행동 패턴을 바꾸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고, 현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힘의 하나로 가족규칙을 이용한다. 가족들이 어려움에 대처하는 방법은 가족규칙이 변해야 한다. 따라서 치료사들은 가족들의 상호 작용 속에 있는 가족규칙을 찾고, 규칙을 변화시킬 방법을 알아낸다.

 

 3) 가족 항상성

 

 가족의 기능을 유지하는 질서가 가족 안에서 확립되면, 전체 가족은 그러한 질서가 변화되는 것을 싫어한다. 이 항상성의 개념은 가족들이 변화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를 설명해 준다. 가족 항상성은 가족이 변화되기보다는 일정하게 유지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모든 가족들은 가족의 기능을 확립하려고 한다. 비록 가족의 특정 구성원이 이런 질서로 인해 어려움과 고통을 겪을 때조차도 가족들은 이러한 질서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진행되는 상황이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전략적 가족치료사는 이러한 항상성 때문에 치료에 대한 저항이 일어날 수 있으며 가족치료에서 변화가 어려울 수 있다고 본다. 가족들에게 변화는 낯설고 위험하게 느껴진다. 전략적 가족치료사들은 가족 안의 항상성의 속성을 확인하고, 현 상태가 일부 가족 구성원들에게는 유해하다는 것을 직시하도록 일개워 줄 때조차도 현 상태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가족의 경향성을 바꾸어 놓아야 하고, 가족이 왜 저항하는지 그 근거를 확인해야 한다.

 

4) 일차적 변화와 이차적 변화

 

  일차적 변화는 가족체계 안에서 가족원이 가진 문제행동이나 증상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이 변화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일차적 변화는 가족 전체가 변화하지 않는 한 재발되기 쉽다.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에 대한 결과이며, 동시에 서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차적인 변화는 전체 가족 체계를 지배하는 규칙이 변화되어 더 이상 증상이 필요하지 않을 때를 말한다. 가족의 일차적 변화는 가족 구성원들의 신뢰를 쌓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변화에 대한 공포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일차적 변화도 필요하다. 또한 가족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차적 변화가 중요하다.

 

5) 순환적 인과성

 

 전략적 가족치료사는 어떻게 가족의 문제가 만들어졌는지를 설명하려고 밑바탕에 깔려있는 원인이나 동기를 찾지 않는다. 대신 현재의 패턴들이 순환적인 인과성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순환적인 인과성은 정적피드백 고리와 부적피드백 고리의 결과물이다. 

  피드백에는 부정적 피드백, 긍정적 피드백이라는 2가지 기본 유형이 있다. 가족치료에서 부정적 ·긍정적 피드백의 의미는 일반적인 '부정적' , '긍정적' 피드백의 의미와 다르다. 가족치료에서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은 체계를 변화시키거나 안정을 유지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긍정적 피드백은 체계의 변화를 일으키고, 부정적 피드백은 체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전략적 가족치료사들은 문제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초점을 두지 않고, 순환적인 패턴과 이러한 지속적인 패턴을 어떻게 끊을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초점은 전체 가족들의 상호작용과 이러한 순환적인 과정을 지속시키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에 있다. 전략적 가족치료사들은 가족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이러한 순환 과정을 끊을 수 있는 일차적 변화와 이차적 변화를 확인하고, 가족이 보다 적응적이고 긍정적인 새로운 항상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가족치료의 주요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적 가족치료 -3  (0) 2024.04.03
전략적 가족치료 -2  (0) 2024.04.02
구조적 가족치료 -4  (0) 2024.03.15
구조적 가족치료 -3  (0) 2024.03.15
구조적 가족치료 - 2  (0)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