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치료의 주요 이론

구조적 가족치료 - 2

by 리치라니의 행복한 기록 2024. 3. 14.

3) 경계

 

 하위체계 간의 경계란 하위체계에 누가 어떻게 참여하는가를 규정하는 규칙을 말한다. 부부 하위체계, 부모 하위체계, 형제자매 하위체계 등 각 하위체계마다 기능이 다르며 다른 하위체계들로부터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경계는 각 하위체계의 이러한 온전성 또는 분화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가정 내에서의 경계는 유연성 또는 투과성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유연성은 가족구성원들 간의 접촉의 특성과 빈도에 영향을 미친다. 미누친은 경계의 유형으로 분명한 경계, 모호한 또는 산만한 경계, 경직된 경계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1) 분명한 경계

 경계가 분명하면서도 유연한 가족은 가족 간에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며, 무엇보다 각 하위체계마다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동시에 서로 관심을 가지고 배려하고 지지한다. 가족들이 서로 존중하고 지지하고 배려하지만 각자 또는 각 하위체계의 자율성이나 온전성을 잃지 않는다.

가정 내에서 경계가 분명해야 생활주기나 가족구성원들의 발달적 변화에 맞추어 구조적으로 변화해 나갈 수 있다.

 

(2) 모호한 경계

 경계가 모호한 가정에서는 하위체계들 간에 선이 분명하게 그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가족 각자의 역할이 분명하지 않으며 부모가 할 일과 자녀가 할 일 사이에 뚜렷한 구분이 없다. 이러한 가정은 서로 지나치게 관여하고, 간섭하고, 침범하며, 가족 각자 사생활 보호가 결여되어 있다. 부모와 자녀 간의 경계가 모호할 때 자녀가 부모에게 과도하게 관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자녀가 부모 역할을 대신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자녀가 부모 역할을 대신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3) 경직된 경계

 하위체계 간의 경계가 경직된 가정에서는 서로 침투할 수 없는 장벽이 가로 놓여 있기 때문에 부모의 세계와 자녀의 세계가 분리되어 서로 상대방의 세계에 들어갈 수 없다. 경계가 경직되어 있는 가정에서는 가족끼리 서로 관심이 없고, 대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일도 적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자녀들의 요구에 부모의 반응도 더디다. 경계가 경직된 가정은 외부 세계와도 폐쇄적인 경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사회에서 가족이 기능하는데 필요한 정보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4) 기능적인 가족과 역기능적인 가족

 건강한 가정은 문제가 없는 가정이 아니라 기능적인 가족구조를 가진 가정이다. 기능적인 가족구조를 가지려면, 부부가 결혼하여 서로에게 적응해 나가면서 동시에 경계를 설정해야 한다. 부부는 또 외부 세계와도 경계를 정해야 한다. 결혼하면 부부는 원가족과도 경계를 정해야 한다. 부모가 자녀를 출가시킨 후 적절한 경계를 정하지 않고 지나친 관여와 침범을 하면 갈등이 발생한다. 원가족과의 경계가 모호할 때 고부 문제나 처가와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자녀가 출생하면 가족구조에 변화가 일어난다. 그동안 남편과 아내 역할을 해왔지만 자녀 출생 이후에는 아버지, 어머니로서 자녀를 잘 양육해야 할 무모  하위체계가 분화되고, 자녀가 여럿이면 형제자매 하위체계가 분화된다. 하위체계 간의 경계가 모호하거나 경직되면 역기능적인 가족구조로 전환된다. 하위체계 간의 경계가 모호하거나 산만한 가족을 '속박된 가족'이라 하고, 경계가 지나치게 경직된 가족을 '유리된 가족'이라 한다.

 

(1) 속박된 가족

  속박된 가족은 경계가 아주 약하고 미분화되어 있다. 속박된 가족은 가족관계가 단순히 밀착되어 있다기 보다 속박되어 있다.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에 부모가 할 일과 자녀가 할 일을 뚜렷하게 구분할 줄 모른다. 부모가 자녀에게 지나치게 관여하고 간섭하고 침범하는 일이 잦다. 자녀의 독립성과 자율성 발달을 저해하고 의존적인 아이로 만든다. 무엇이든 부모가 다 결정해 주기 때문에 나중에 자라서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두 형제가 사소한 다툼이라도 벌이면 부모가 뛰어들어 해결해 주는데, 자녀들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협상하는 기술을 발달시키지 못한다. 정신신체적 가족에게서 속박이 흔하다. 

 

(2) 유리된 가족

 하위체계 간의 경계가 경직되어 있으면 가족끼리 정이 없고 관심도 없다. 또한 가족끼리 상호작용이나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지 않는다. 심각한 문제가 발생해야 겨우 관심을 보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너는 너, 나는 나'로 따로 있게 된다. 가족들의 독립성이나 자율성은 발달하겠지만, 가정에 대한 소속감이나 충실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미누친이 지적했듯이, 속박된 가족은 자녀가 디저트를 먹지 않으면 마치 무슨 일이 일어날 것처럼 안달복달하지만, 유리된 가족은 자녀가 며칠 집에 들어오지 않아도 그리 신경 쓰지 않는다. 따라서 유리된 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따뜻한 배려와 사랑을 경험하지 못한다.

 

5) 가정 내에서의 위계구조

 경계가 가족이 어떻게 조직화되어 있는가를 가리킨다면, 제휴는 가족 구성원들이 가족활동을 할 때 함께 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그러나 특정 가족 구성원이나 하위체계에 맞서거나 대항하기 위해 제휴를 하게 될 경우에는 연합을 이루게 된다. 구조적 입장에서 가족이 잘 기능하려면 첫째, 세대 간의 경계가 분명하게 설정되어 부모가 집행 능력을 지닌 하위체계를 형성해야 한다. 둘째, 자녀 훈육과 같은 중요한 문제에 직면할 때에는 부모가 제휴하여 한 목소리를 내어야 한다. 만일 부모 사이에 이견이 있을 경우에는 둘이서 합의를 해야지, 자녀 앞에서 공공연하게 이견을 드러내서는 안 된다.

 

 

'가족치료의 주요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적 가족치료 -4  (0) 2024.03.15
구조적 가족치료 -3  (0) 2024.03.15
구조적 가족치료 - 1  (0) 2024.03.08
보웬의 가족체계치료 - 2  (0) 2024.03.08
보웬의 가족체계치료 - 1  (0) 2024.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