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인물과 배경
구조적 가족치료를 창시한 살바도르 미누친은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간 유태인 부모에게서 태어나 아르헨티나에서 성장했다. 미누친은 사촌이 200명이 넘는 거대한 가정에서 자랐다. 이러한 성장 배경 때문에 미누친은 인간이 기능하는 사회적 맥락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948년 이스라엘이 건국을 선포하여 전쟁이 발발하자 1년 반 동안 군의관으로 참전한 일이나 빈민가의 청소년들에게 관심을 기울인 일에도 미누친의 사회적 정의감을 잘 드러내고 있다.
미누친은 아르헨티나에서 의과대학을 다닌 후 미국에서 에커만의 지도하에 정신과 의사 훈련을 받았고, 1954년에 월리엄 앨란슨 화이트 정신분석연구소에서 정신분석 훈련을 받았으며, 뉴욕 근교의 월트윅의 비행청소년 학교에서 정신과 의사로 활동하였다. 미누친은 비행청소년 개인들 뿐만 아니라 이 청소년들의 가족과 그들의 처지에 관심을 가지고 분석하기 시작했다. 미누친은 다양한 문제들을 드러내는 이러한 빈곤한 가족들을 돕기 위해 특별한 개입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미누친과 그 동료들은 장기적이고 해석적이고 정신분석적 기법을 비효율적인 것이라고 여기고, 가족을 재구조화 시킴으로써 맥락적 변화를 가져올 단기적이고, 직접적이고, 구체적이고, 행동지향적이고, 문제해결적인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
미누친은 월트윅에서 가난하고 열악한 조건에 놓인 가족들을 대상으로 활동하면서 빈곤가정을 위한 상담기법 개발에 주력하여 [슬럼가의 가족들]이라는 책에 담아냈으며, 이것이 구조적 가족치료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큰 역할을 했다.
또한 가족의 재조직 또는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느낀 월트윅에서의 경험은 구조적 가족치료의 초석을 이루게 되었다.
2. 주요개념
구조적 가족치료에서는 다른 체계이론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족체계 내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가족체계 내에서 어떻게 균형 또는 항상성이 유지되며, 역기능적인 교류 또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구조적 가족치료에서는 특히 가족의 교류 유형에 관심을 나타낸다. 왜냐하면 가족들의 교류 유형을 통해 가족구조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하위체계 간의 경계를 파악하고, 가족들의 교류 유형의 변화를 통해 가족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구조적 가족 치료에서는 가족들 중에 심리적 장애가 발생하는 원인을 가족구조에서 찾는다. 또한 치료도 가족구조의 변화를 통해 가능하다고 본다. 가족치료가 어려운 이유 중에 하나는 가족들이 서료 강력하면서도 예측할 수 없는 방법으로 영향을 미치는 개인들의 집합체로 드러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구조적 가족치료는 이러한 교류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는 틀을 제공해 준다. 가족들이 일관성 있는 행동들을 드러내는 것을 보면 단지 기능적인 의미 이기는 하지만 그 속에 [구조]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가족구조를 형성하는 정서적 경계와 연합은 추상적인 개념에 지나지 않는다.
1) 가족구조
가족 구조는 가족이 주요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만들어 온 조작적 규칙들을 반영하고 있다. 가족구조는 한 가족이 안정성을 유지해 나가고 또 변화가 필요한 조건에서는 적응적 변화를 추구해 나가기 위해 자신을 어떻게 조직화시키는지 드러내는 일관적이고,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유형을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가족의 교류 유형은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을 규제하는데, 보편적인 제한요인이란 어떤 가정에서나 볼 수 있는 보편적인 규칙을 포함하고 있다. 잘 기능하는 가족은 위계적으로 조직화되어 있기 때문에, 부모가 자녀보다 더욱 큰 권위와 파워를 가지고 있고 형이 동생보다 더 많은 특전과 책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개별적인 제한요인이란 각 가족마다 특유한 것으로, 상호기대를 내포하고 있다.
가족 구조는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즉, 체계는 그 자체를 유지하려고 한다. 따라서 가족들은 가능한 변하지 않고 기존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한다.
2) 하위체계
가족체계는 하위체계들을 통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하위체계는 가족구조의 구성요소로서 전체 가족체계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발달과업을 수행한다. 가족 한 사람 한 사람이 하위체계인 동시에 둘 또는 그 이상이 모여 하위체계를 구성하기도 한다.
(1) 부부 하위체계
한 남자와 한 여자가 결혼하면 먼저 부부 하위체계가 형성된다. 부부는 결혼할 때 각자 결혼에 자기 꿈과 희망과 기대를 투사시킨다. 또한 부부 하위체계가 잘 기능하려면 무엇보다 생활주기마다 요구되는 발달과업을 제대로 달성해 나가야 한다. 발달 과업은 부부관계 내에서 이루어야 할 발달과업과 부부가 외부와의 관계에서 이루어야 할 발달과업이 있다.
● 헌신 : 부부관계에 가치를 부여하고, 부부관계를 유지 및 발달시켜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 배려 : 배려는 부부를 한 데 묶는 정서적 애착으로, 연애할 때의 낭만적인 사랑에 머물지 말고 성숙한 사랑으로 가꾸어야 한다.
● 커뮤니케이션 : 부부관계는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을 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 갈등 해결 : 친밀한 부부관계를 형성할 때 필연적으로 따르는 것이 불일치를 수용하고 대처하는 능력이다.
(2) 부모 하위체계
부모 하위체계의 주요 역할은 자녀 양육과 훈육이다. 확대 가족에서 조부모나 의붓아버지 어머니도 이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핵가족 내에서 부부나 부모는 동일한 사람이지만 어느 하위체계에 소속되는가에 따라 역할과 사명이 다르다.
부부는 부부 하위체계의 특징을 이루는 상호지지를 잃지 않으면서 자녀를 사회와 시키는 과업을 수행해야 한다.
사회화란 특정 집단이나 사회에 효율적으로 적응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3) 형제자매 하위체계
형제나 자매가 여럿이면 형제 또는 자매라는 하위체계가 형성된다. 이 하위 체계는 어린이가 세상에 태어나서 맞이하게 되는 첫 또래집단이다. 어린이는 이 하위체계를 통해 서로 지지하고, 보호하고, 협력하는 것을 배우는 동시에 서로 경쟁하고 싸우고 나서 협상하는 법도 배운다.
어린이들은 이 하위체계를 통해 생활주기에 따라 요구되는 발달적 변화에 필요한 관계 변화를 이루기 위해 부모 하위체계에 대처하는 법도 학습할 수 있다. 부모는 형제자매들 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자기네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맡겨둘 필요도 있다. 형제나 자매 간의 문제에 부모가 일일이 나서서 간섭하면 자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발달시키지 못한다.
'가족치료의 주요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적 가족치료 -4 (0) | 2024.03.15 |
---|---|
구조적 가족치료 -3 (0) | 2024.03.15 |
구조적 가족치료 - 2 (0) | 2024.03.14 |
보웬의 가족체계치료 - 2 (0) | 2024.03.08 |
보웬의 가족체계치료 - 1 (0) | 2024.02.29 |